Neoteny

반응형

논문 다운로드 횟수로 알아본 컴퓨터 과학계의 인기 주제

미국 컴퓨터협회(ACM, http://www.acm.org/)가 최근 올해 10월 동안 자체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졌던 논문, 서적/강의, 저널들을 각각 10개씩 뽑아 발표했다. 이는 특히 발전과 변화의 속도가 빠른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어떤 주제가 인기 있는 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지표로 볼 수 있다. 협회가 발표한 순위 가운데 논문 부문 순위를 살펴본다.

2004년 10월에 가장 많은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논문으로는, 지난 3월에 응용 컴퓨팅 심포지엄(http://www.acm.org/conferences/sac/sac2004/)에서 발표된 카를로 콤비(Carlo Combi, http://profs.sci.univr.it/~combi/)의 최신 저작인 "시간적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http://delivery.acm.org/10.1145/970000/968040/p659-combi.pdf)" 이 꼽혔다. 이탈리아 베로나 대학교 교수인 콤비의 이 논문은, 시간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전문가인 저자가 자신의 전문 분야 이론을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여러 기준을 다단계로 고려해 심사하는 대학원생 입학 심사 과정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이 논문은 2004년 전체로 볼 때는 다운로드 횟수 180위로 그다지 순위가 높지 않았다.

반면, 10월 월간 4위, 7위, 9위로 뽑힌 논문들은 연간 순위도 각각 2위, 7위, 3위로, 전반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한 논문들이었다. 연간 2위인 "컴퓨터 과학 커리큘럼 2001"은 2001년 미국 컴퓨터 협회와 전자전기 학회가 공동 구성한 특별 위원회(http://www.computer.org/education/cc2001/)에서 작성하여 컴퓨터 과학 교육 관련 저널(http://www.acm.org/pubs/jeric/)에 투고한 논문으로, 커리큘럼 작성에 실질적으로 참조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꾸준한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연간 7위인 GE사 연구원 윌리엄 로렌슨(William E. Lorensen, http://www.crd.ge.com/~lorensen/)의 "고화질 3차원 표면 구성 알고리즘(http://portal.acm.org/citation.cfm?id=37422)"은, 그래픽스 분야의 중요한 주제인 3차원 표면 구성을 다루고 있는 고전 논문이다. 이 유명한 논문은 1987년 8월에 열린 그래픽스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연간 3위를 기록한 논문은 그리스 아테네 대학교의 컴퓨터 과학과 박사 과정 학생인 막달리니 에이리나키(Magdalini Eirinaki, http://www.db-net.aueb.gr/magda/)의 논문으로, 최근의 인기 주제인 웹 마이닝(Web Mining)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웹 개인화를 위한 웹 마이닝(http://www.db-net.aueb.gr/papers/2003/EV03_TOIT.pdf)"이라는 제목의 이 논문은 지난해 2월 인터넷 기술 저널에 발표됐으며, 짧은 시간 동안에 인기 논문으로 부상했다. 이 논문에는 사용자의 브라우징 행태를 파악한 뒤 웹 마이닝을 통해 각자의 취향에 맞추어 개인화된 웹을 제공하는 기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 외에 다운로드 횟수 10위권 안에는, 메릴랜드 주립 대학교의 전자 투표 시스템 관련 논문(http://www.cs.umd.edu/~bederson/voting/), 이스라엘 사반티스사(http://www.savantis.com/)의 데이터베이스 관련 디비스위치(dbSwitch) 논문, NEC 연구소(http://www.nec-labs.com/)의 내장형 시스템에서의 보안 문제를 다룬 논문, 구글 파일 시스템(GFS, http://labs.google.com/papers/gfs.html)에 대한 구글사 연구원들의 논문, 가상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 상호 작용을 사이버 심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버클리 대학교의 논문, 인터넷 상거래에서의 신뢰 문제를 다룬 캐나다 칼튼 대학교 연구팀의 논문이 들어 있었다. 인기 논문 가운데는 인터넷과 웹 관련 논문들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2004/12/31

반응형